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스테이블 코인이란

by 버드뷰 2025. 1. 24.
반응형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은 가격 변동성이 적은 암호화폐로, 주로 법정 화폐나 다른 자산(금, 부동산 등)과 1:1 비율로 연결되어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하려고 설계된 디지털 자산입니다. 이는 암호화폐의 변동성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으로, 일상적인 거래나 결제에서 더 실용적인 사용을 목표로 합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1:1 비율로 법정화폐(예: 미국 달러, 유로 등)에 의해 뒷받침됩니다. 예를 들어, **USDT(테더)**나 USDC는 달러와 1:1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2. 암호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다른 암호화폐(예: 이더리움, 비트코인 등)를 담보로 하여 가치가 안정되도록 설계됩니다. 예를 들어, DAI는 이더리움과 같은 암호화폐를 담보로 하여 발행됩니다.
  3. 알고리즘형 스테이블 코인: 중앙화된 담보 없이 알고리즘을 통해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AMPL(암플리파이)와 같은 암호화폐가 이 방식에 해당합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에서 안정적인 거래 수단을 제공하고, 암호화폐를 통해 거래하면서도 법정 화폐와의 가치 차이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세히 카테고리별로 더 알아보면

 

1.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 USDT (Tether):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테이블 코인.
  • USDC (USD Coin): Circle과 Coinbase가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
  • BUSD (Binance USD): 바이낸스와 Paxos가 협력하여 발행.
  • TUSD (TrueUSD): 투명한 담보 방식과 정기적인 감사가 특징.
  • PAX (Paxos Standard): Paxos가 발행한 달러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
  • GUSD (Gemini Dollar): Gemini 거래소에서 발행한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

2. 암호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 DAI: MakerDAO에서 발행한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
  • sUSD: Synthetix에서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
  • mUSD: mStable에서 제공하는 스테이블 코인.
  • LUSD: Liquity에서 발행된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

3. 알고리즘형 스테이블 코인

  • AMPL (Ampleforth): 알고리즘 기반의 스테이블 코인으로,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가격을 안정화.
  • ESD (Empty Set Dollar): 알고리즘을 통해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치를 안정시키는 스테이블 코인.
  • FEI: Fei Protocol에서 발행하는 알고리즘형 스테이블 코인.

4. 다양한 국가 기반 스테이블 코인

  • XAUT: 테더가 발행한 금 기반 스테이블 코인으로, 금 1온스를 기준으로 가치가 결정됨.
  • DGX: Digix에서 발행한 금 기반 스테이블 코인.
  • GOLD: Tether가 발행한 금 기반 스테이블 코인.

5. 특수 목적 스테이블 코인

  • Celo Dollar (cUSD): Celo 플랫폼에서 발행된 스테이블 코인으로, 모바일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VAI: Venus 프로토콜에서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

이 외에도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특정 목적을 위해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TRU(TrueFi), Celo Dollar, mUSD 등은 특정 플랫폼이나 금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장점과 단점

장점:

  • 가격 안정성: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의 단점을 극복하고, 실제 경제활동에서의 활용성을 높입니다.
  • 빠르고 저렴한 거래: 다른 암호화폐나 법정화폐에 비해 빠르고 저렴한 국제 송금 및 결제가 가능합니다.
  • 디지털 자산 활용: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시스템과 잘 결합하여, 디지털 경제에서 유용한 자산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단점:

  • 중앙화의 위험: 일부 스테이블 코인은 발행 기관에 의해 중앙화되어 있으며, 해당 기관의 신뢰도에 의존해야 하는 위험이 있습니다.
  • 규제 리스크: 스테이블 코인은 일부 국가에서 규제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법적인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담보 자산에 대한 신뢰성: 법정화폐나 자산으로 담보되는 경우, 해당 자산의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러와 유동을 원한다면 테더에 좀더 관심을 갖고 투자해 볼수 있습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드맥스로 배당금 월300  (1) 2025.01.31
고배당 CEF 상품들  (0) 2025.01.25
비트코인 투자 기업  (0) 2025.01.24
트럼프 수혜주 예상  (0) 2025.01.22
일드맥스 투자전략과 배당 일정  (0) 2025.01.22